AWS

    AWS_CDK

    AWS_CDK

    AWS_CDK 최근 어떤 유튜브 영상에서 CS 세계의 방향성에 대한 얘기를 봤다. 인프라를 추상화해서 관리하고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흐른다는 영상이었다. 사실 개발을 처음 시작한 지 아직 1년도 안됐기 때문에 개발 업계의 방향성에 대해서 느껴지는 바는 없지만, 최근 AWS를 다룰 일이 많아지면서 AWS lambda, 서버리스 등의 단어를 자주 접했고, 해당 개념에 대해 궁금해 찾아보니 인프라의 추상화,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이라는 말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서버리스? AWS lambda?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이 아니라 서버를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는 (혹은 적은) 아키텍처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Firebase 같은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BaaS로 Backend as a..

    AWS www.도메인 -> 도메인 리디렉션

    AWS www.도메인 -> 도메인 리디렉션

    AWS www도메인 → 도메인 리디렉션 크롬 브라우저에서 naver.com를 쳐서 들어간 후 url 창을 더블클릭해보면 www.naver.com으로 나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분명 www를 붙이지 않고 접속했는데 www가 붙어있는 이유는 일종의 관습 때문이라고한다. 예전부터 도메인 앞에 www를 붙이던 관습때문에 아직도 메인 도메인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AWS Route53을 이용해 example.com 도메인을 연결해보면 자동으로 www.example.com이 등록되진 않는다. AWS에서 직접 _ www_가 달려있는 도메인을 따로 등록을 해줘야 하는데 EC2의 경우 정말 쉽게 설정이 가능하지만 CloudFront와 S3를 통해 배포된 서비스의 경우 설정하기가 약간 복잡하다. CloudFront와..

    AWS_ASG

    AWS_ASG

    AWS_ Auto Scaling Group 정해놓은 사용량에 따라 서버를 원하는 개수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기능 AWS Cloudwatch에 의해 작동되고 보통 서버의 CPU 사용량을 기준으로 scale-out, scale-in 하게 됨. scale-out : 서버가 늘어나는 것 scale-in : 서버가 줄어드는 것 scale-up : 서버의 스펙을 올리는 것 AWS ASG 설정 방법 1. EC2 탭에있는 Auto Scaling 그룹 선택 → Auto Scaling 그룹 생성 선택 2. 시작 템플릿 선택 (없으면 AMI 이용해서 새로 생성) 3. VPC, 서브넷 선택 (가용성을 위해 최소 2개 선택) 4. ELB 연결 (없으면 생성, 대상그룹 연결) 5. 원하는 서버 개수와 CPU 조건 설정 l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