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www도메인 → 도메인 리디렉션
- 크롬 브라우저에서 naver.com를 쳐서 들어간 후 url 창을 더블클릭해보면 www.naver.com으로 나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분명 www를 붙이지 않고 접속했는데 www가 붙어있는 이유는 일종의 관습 때문이라고한다. 예전부터 도메인 앞에 www를 붙이던 관습때문에 아직도 메인 도메인역할을 하는 것이다.
- 하지만 AWS Route53을 이용해 example.com 도메인을 연결해보면 자동으로 www.example.com이 등록되진 않는다.
- AWS에서 직접 _ www_가 달려있는 도메인을 따로 등록을 해줘야 하는데 EC2의 경우 정말 쉽게 설정이 가능하지만 CloudFront와 S3를 통해 배포된 서비스의 경우 설정하기가 약간 복잡하다.
CloudFront와 S3를 통해 배포된 서비스 www → non-www 리디렉션
- 리디렉션을 하기위해선 아래와 같은 플로우로 진행하게 된다. (CloudFront 와 S3 연결과 같은 것은 안다고 생각하고 생략함)
- 가장먼저 S3에 실제 빌드한 서비스 파일을 업로드한 후 CloudFront와 연결한다.
- Route53을 이용해 example.com도메인과 CloudFront를 연결한다.
- 아무것도 없는 S3 버킷을 만든다. 이때 버킷이름은 무조건 www.example.com으로 만든다.
그리고 Route53을 이용해 www.example.com 도메인을 S3와 연결한다. - 아무것도 없는 S3의 속성에 들어가 정적 웹호스팅 객체 리디렉션으로 example.com 을 입력한다.
- 이 후 example.com을 통해 서비스를 바로 실행할 수도 있고, www.example.com을 통해 example.com로 리디렉션해 서비스를 실행할 수도 있다.
-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3번에 버킷이름을 정하는 것이다. 기본 서비스 빌드 파일이 example.com에 있고, www.example.com을 추가하고 싶다면 버킷이름을 www.example.com로 지어야 Route53에서 별칭을 통해 인식이 가능하다.
- CloudFront는 각지역에 S3에 있는 파일을 캐싱하고 있다가 제공하는 서비스다. 위의 방법으로 리디렉션하면서 걱정했던건 www.example.com이라는 S3 버킷에 Route53이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CloudFront의 캐싱을 이용하지 못해 과금이 되는게 아닌가 했는데 생각해보니 www.example.com의 경우 단순히 path의 역할만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에 의한 과금이 없어 안심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